[스크랩] 함 배워보가 격국론 3 ~ 격국의 종류와 성격, 파격
3. 격국의 종류와 성격, 파격
보통격국(내격, 정격) ~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 정간, 편인, 정인, 건록, 양인 견록과 양인을 제외하고 8정격으로 하기도 하지만 활동영역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포함해서 쓰는 것이 한 방법이 될 것이다. 격국론에서는 비견격과 겁재격은 없다. 건록격~ 일간이 월지 오행과 비견. (단 戊는 巳월, 己는 午월) 양인격~ 양일간이 월지 오행과 겁재. (단 戊는 午월)
특별격국(외격, 편격) ~ 화격: 천간의 5종류 종격: 종강, 종왕, 종아, 종재, 종관 나머지의 다른 특별격국은 위의 큰 틀 속에 거의 다 들어간다. 특별격국을 정하기 전에 명주에게 과거를 물어보고 난 후 즉, 과거 대운을 대입하고 난 후에 정도 좋은 방법이다.
격국을 정하는 법 * 월지는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는 곳으로 사주의 핵심이요, 모든 판단의 기준이 되는 곳이다. * 격국은 천간과 지지를 보는 것이 아니라 투간된 천간을 보고 지지에서는 회국을 보는 것이다. * 격국에서 가장 중요한 point는 월지의 정기(본기)이다. * 격국에서 천간을 중점적으로 본다. 1) 월장간의 본기가 천간으로 투출한 글자.(80% 능력 발휘) 2) 월장간의 본기가 투출하지 않고 다른 장간이 한 개 투출 하면 그 글자. (60%능력 발휘) 3) 월장간의 본기가 투출하지 못하고 초기, 중기가 투출하면 그 중에 세력이 강한 글자. 4) 투간되지 않으면 월지. 5) 회국을 이룬 것. *子卯午酉의 왕지(사정)은 그 자체의 힘이 강하므로 천간에 투출하지 않아도 격으로 잡을 수 있다. *寅巳申亥의 생지에서 장간의 戊토는 힘이 약하므로 보통 격으로 잡아주지 않는다. 단 巳화와 寅목의 戊토는 제외
*격의 기세는 자리배치(천간: 월간, 시간, 연간 지지:월지, 시지, 일지, 연지), 동주, 삼합 등 전체적인 상황을 보고 판단한다.
*진격: 월장간이 투출. 가격:월지장간이 투출하지 않았고 세력도 없는 경우. (물론 진격이 좋고 가격은 그 격이 떨어진다.) *전부다 격국으로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보통 50%는 격국이 불분명하여 격국으로 정하기 어려워 가격이 되는 것이다. (하격이 된다) *격국을 꼭 한가지로 정하기 힘든 명식도 있다. 그때는 고집을 하지 말아야 한다. (2가지로도 나올 수 있다, 이것도 하격이 된다) *격국은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고 대운으로 바뀔 수 있다. 하지만 강한 세력의 격국은 바뀌지 않는다.
*격국의 성격이 되는지, 파격이 되는 지가 중요하다. 성격은 조건: 1. 월지장간의 투출 여부 2. 기운, 세력를 본다. 3. 통근을 본다. 4. 상신을 정하고, 그 뿌리의 강약 여부 (성격이 되었다는 것은 소신을 가지고 자신의 일을 당당하게 펼 수 있다는 뜻)
파격의 조건: 1. 상신이 없다. 2. 상신합거되어 있다. (일간과의 합은 유정하여 관계가 없다.) 3. 혼잡(정, 편이 섞어 있는 것)되어 있으면 그 격이 떨어진다. 4. 편중되어 있다. 격이 떨어진다. (파격이 되었다는 뜻은 사회활동이 불안정하고 실패가 많다는 뜻)
---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