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자평진전과 삼명통회
자연의 만물상을 통달하여 인생사를 표현한 것이 명리학이고 보면 명리학은 곧 자연을 의미한다 자연을 얼마만큼 잘 이해하고 있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명리학의 진보를 말할 수가 있겠다
명리에는 고법의 삼명통회와 신법의 자평진전이 있다
자평으로 격국과 용신으로 사주를 볼 려고 한다면 용신론과 용신무용론에서 갈등하게 될 것이다 격국 용신으로만 사주를 풀어 보면 맞을 때도 있지만 틀린 때도 있다 왜 그런가 하면 자평진전의 내용이 사주를 풀어 낼 100%의 열쇠라고 단정 지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서자평은 현대 명리학의 체계를 세웠다. 오늘날 명리학은 대부분 자평법에 근거하고 있다. 따라서 사주 팔자 명리학을 ‘자평법(子平法)’이나 ‘자평팔자학(子平八字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자평진전은 서자평이 복잡 다양한 고법의 체계를 격국이란 사양으로 단촐하게 정리한 학문의 한 줄기로 봐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자평진전 한분야로 사주 천체를 이해할 수가 없어서 오류가 나오는 것이고 부족한 그 무엇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그 부족분을 채워 줄 수 있는 것이 고법의 삼명통회이다 명리를 한다고 한다면 마땅히 궁통보감, 상명통회, 연해자평등의 3대고서나 6대고서등을 다 이해해야 할 것이다
제목: 펌글. 용신과 희신론.......질문. 글쓴이: 청학 날짜: 2005.03.16. 20:02:12
안초선생님의 자평원리를 보면서 자평진전의 용신(월령용사지신)에대하여 이해하고 있는 학인 입니다. 아래의 박영창님의 글을 보면 자평진전의 월령용사지신은 고서에 비추어보면 합당하지 않은(원래의 의미는 월령분일용사 )관점이라 되있읍니다. 박영창님 역시 정직하신 학자이신지라 이 분의 관점을 쉽게 무시 할 수는없을것 같읍니다. 안초선생님께서는 고서에서 진리를 발견하고 계신데요....... 자평진전의 관점이 고서에 부합하지 않는지요.그리고 아래 글의 용신에 대한 관점은 안초선생님의 관점과는 무엇이 다른지요. 궁금해서 질문올립니다.
....................................................................................
박영창님의 용신과 희신론 희신이 뭐냐에 대해 의견이 분분한데, 일설에는 용신을 생하는 것이라고 하고, 일설에는 꼭 生하지 않더라도 용신을 보호하는 것까지 포함해야 한다고 하고, 또 일설에서는 현대적 의미의 용신을 희신이라고 정의한다. 그렇다면 용신은 뭘까? 웃기게도 용신에 대한 정의마저 제각기 다르다는 것이다. 용신에 대한 정의가 없는 마당에, 희신의 정의가 일치할 수 없다. 用神. 쓸 용, 귀신 신. 간단히 해석하면 쓰는 신이라는 것이다. 명리학에서 신이란 오행이라는 뜻이 가장 강하다. 진짜 귀신을 뜻함이 아니다. 신처럼 조화를 부리기에 그런 글자를 붙인 듯하다. 용신이란 다시 말해서 <쓰는 오행>이라고 해석할 수 있겠다. 그래서 최초의 사주학 책인 <연해자평>에서는 <유용지신(有用之神)>, 곧 쓸모가 있는 신이라고 정의한 것이다. 그런데 일설에는 용신은 <월령용사지신>의 준말이라고 한다. 오준민은 월령용사지신을 <월령分日용사>라고 정확하게 정의한 바가 있다. 월령에서 절입 후 며칠간은 월지 지장간 가운데 어떤 것이 사령하느냐를 구별하는 이론인 것이다. 여기서 용사하는 것은 당연히 인원이다. 인원용사인 것이다. 당연히 천간도 아니고 지지도 아닌 인원이다. 그런데... 그 사령하는 인원을 용신이라고 부르면서, 그것이 정해진 후에 희기를 가리는 작업이 남아 있다는 주장이 있다. 이 학설을 과장해서 강조한 사람이 일본인 아부태산이다. 용신(격국과 유사)이 있은 후에 희기(희용신과 기신)를 가리는 방식은 자평진전에서 어느 정도 체계를 잡았고, 아부태산이 확립한 것인데, 아부태산은 자평진전 추종자이므로 순용 역용을 강조한다. 서락오가 명리서를, 명리 용어를 왜곡시킨 것보다 아부태산이 왜곡시킨 잘못이 훨씬 크다. 용신을 월령용사지신으로 정의하고, 그 후에 희기를 가리면서, 기존의 유용지신이라는 용신 개념을 삭제한 것인데, 자평진전을 너무 지나치게 추종하다가 그리 된 것이다. 자평진전과 아부태산의 용신 정의는 명리서 고서들의 전통에서 보면 이단에 가까운 것이다. 그리고 월령분일용사지신과 투간은 아무 상관이 없는 별개의 사항이다. 인원 사령과 인원의 투간은 별개의 문제인 것이다. 이것을 혼동하면 안된다. 월령용사지장간이 투간할 수도 있고, 투간하지 못할 수도 있는 것이고, 투간이 없어도 사령지신은 있다. 언제나... 그리고 분일용사의 날짜 수 역시 고서마다 다르다. 서락오는 그래서 인원용사의 다과라는 항목에서 비교를 한 바 있었는데...
제 생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용신이 월령용사라는 학설은 용신론에서는 소수설이다.(고서에서 볼 때) 2. 월령용사하는 인원을 용신이라고 정의한다고 해도, 그것은 천간에 투간했느냐, 아니냐와는 별개의 문제다. 3. 용신의 고서의 정의는 다수가 <유용지신>이라는 의미이다.(연해자평, 적천수천미, 명리약언, 명리정종, 삼명통회, 기타 고서들에서) 4. 아부태산식의(자평진전식의) 용신 개념과 희기신 개념은 서락오식으로 바꾸어야 고서의 전통에 더 적합하게 되고, 더 옳은 정의가 된다. 현대인의 용신 정의가 고서에서도 다수설이다. 5. 서락오의 실수는 자평진전을 고서의 전통에 입각한 다수설의 입장에서 재해석하다가 심효첨의 본래의 뜻을 변질시킨 잘못은 있으나, 명리학의 용어를 잘못 이해한 것은 별로 없다. 다만 통변 실력이 부족했던 것은 사실이 아닐까?
이상으로 제 소견을 말씀드렸습니다.
박영창 드림.
* 어젯밤에 박영창님 홈에서 열나게 뒤져봤는데.. 아무리 찾아도 못 찾아서.. 어제 올리지 못하고.. 오늘 카페에 나와서 컴에 저장해 놓은 것을 찾으니.. 금방 눈에 들어오니..무지 반갑기까지 하다.^^; 그런데 왜 못 찾았는지 모르겠다. 혹시 지워버린 것은 아닌지..
제목: 와전된 용신개념 글쓴이: 안초 날짜: 2005.03.16. 21:43:40
청학님!좋은 질문을 주셨습니다. 박영창님은 개인적으로 잘 아는 분입니다.그래서 이 분을 앞에 놓고 평하라면 좀 어렵지만 그래도 조심스럽게 몇 마디 올리겠습니다. 박영창님은 자평진전평주를 번역하신 분이고 이 책으로 출세(?) 하신 분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번역한 책을 이단이라고 하시는 분입니다. 그러니까 이 분 논리대로면 이단 책을 번역하여 출세하신 분입니다. 좀 그렇지요.^^ 원리 얘기해야 알아듣지도 못하고 인정도 안 할 테니까, 굳이 원리를 용신으로 설명할 필요는 없고, 고전의 근거만으로 얘기하겠습니다. “용신이란 다시 말해서 <쓰는 오행>이라고 해석할 수 있겠다. 그래서 최초의 사주학 책인 <연해자평>에서는 <유용지신(有用之神)>, 곧 쓸모가 있는 신이라고 정의한 것이다..... 3. 용신의 고서의 정의는 다수가 <유용지신>이라는 의미이다.(연해자평, 적천수천미, 명리약언, 명리정종, 삼명통회, 기타 고서들에서)” 위 내용을 요약하면 용신은 월령과 관계없는 神이며, 다른 고서 역시 그렇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자신이 번역한 자평진전은 이단이라는 모순을 펼치는 겁니다. 그렇다면 아래 말들은 월령과 관계없다는 말입니까? 그래도 고전에 정통했다는 분인데 정말 고전을 읽기는 읽은건지... 分至用神 서대승은 ‘연해자평’에서, “一年之內 細分五行 配合氣候於十二月之中 各主往相以定用神 其中五行 又分陰陽爲兩股 於一年之中 各主生旺之氣 如冬至一陽 則有木先生旺之理 夏至一陰生 則有金生水用之理 其理尤明 學者不可不知矣”(1년을 5행으로 세분하여 12월의 中으로 기후에 배합한다. 각 主는 用神을 정함으로서 서로 가고 그 中은 5行이다. 또한 1년의 中에서 음양의 양다리로 나누면 각 主는 生旺의 氣가 된다. 예컨데 동지는 1陽으로 먼저 木으로 生旺의 이치가 된다. 하지는 1陰을 生하는데 金生水를 用하는 이치이다. 이 이치는 매우 명백하여 학자가 알지 않으면 안 된다)라고 용신(用神)은 분지(分至)의 5행으로 정하는데, 이 이치는 명백하여 학자가 알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向神경도는 `적천수`에서, “月令提綱之府 譬之宅也 人元用事之神 宅之定向也”(월령제강의 府는 宅과 같고, 인원용사의 神은 宅의 向을 정한다)라고 신(神)을 향(向)이라고 설명한다. 神氣象안동주는 ‘옥정옥결’에서, “用神一字 貴氣重來 象欲晶明 氣傷懶散”(용신 1자는 귀한 氣가 무겁게 와서 象을 투명하게 밝히려고 하고, 氣는 나태하게 흩어진 것을 상하게 한다)라고 용신에 대한 기상(氣象)을 설명한다. 月令用神육오산인은 ‘삼명통회’에서, “輕淸者 爲十干 主祿 謂之天元 重濁者 爲十二支 主身 謂之地元 天地各正其位 成才於兩間者 乃所謂人也 故支中所臟者 主命 謂之人元 名爲司事之神 以命術言之 爲月令用神 經云 用神不可損傷 日主最宜健旺是也”(輕淸은 10간이 되어 祿이 주가 되니 天元이라 한다. 重濁은 12지가 되어 身이 주가 되니 地元이라 한다. 천지는 그 位가 바르니 才를 이루어 양 사이를 人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지중에 臟은 命이 主가 되니 人元이라 하고 司事의 神이라고 이름한 것이며, 명술로서 말하기를 月令用神이 된다. 經에서 말하기를 용신은 손상을 입어서는 안 되고, 일주는 건왕 함이 최고로 마땅하다)라고 월령용신(月令用神)을 설명한다. 先用後衡심효첨은 ‘자평진전’에서, “凡看命者 先觀用神之何屬 然後或順或逆 以年月日時遂干遂支 參配而權衡之 則富貴貧賤自有一定之理也 不向月令求用神 而妄取用神者 執假失眞也”(무릇 간명자는 먼저 用神이 어디 속하는지 살핀 후에 順하는지 逆하는지 살핀다. 연월일시의 간지를 배합하여 權衡하면 부귀빈천의 일정한 이치가 스스로 드러난다. 月令의 向이 아닌 곳에서 용신을 구하여 망령되게 용신을 취하면 거짓에 빠져 진실을 잃게 된다)라고 먼저 용신을 세우고, 다음 평형을 저울질(權衡)하는데, 용신을 망령되게 취하면 안 된다. 用神格局심효첨은 ‘자평진전’에서, “八字用神 專求月令 以日干配月令地支 而生剋不同 格局分焉”(팔자의 용신은 오로지 월령에서 구한다. 일간을 월령지지에 배당하면 生剋이 다르므로 격국이 구분된다.)라고 용신은 오로지 월령에서 구하고, 격국은 일간을 월령에 배당하여 구분한다. 다시 정리하면...원리를 모르는 임철조, 서낙오 등이 희신을 용신이라고 와전시켰고, 아무것도 모르는 그 아래 후학들 역시 희신을 용신이라고 와전하면서 고착화(?)된 것입니다. 당연히 바로 잡혀야 합니다. 한마디로 위 임철조, 서낙오는 체용을 억부로 혼돈하고 있는 겁니다. 체용개념, 억부개념, 제강개념, 다른 학문의 용신개념 등 일치되는 원리와 논리를 찾아보면 답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즉 위 용어에 대한 개념과 원리를 생각해 보면 지금 희신이 와전되어 용신이라고 부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도 용신을 계속 희신이라고 고집하시는 분께...아래 글을 희신개념의 용신으로 설명해 보라고 하십시오. 당근 월령용신으로는 설명이 됩니다. 用神多者경도는 ‘적천수’에서, “用神多者 性情不常”(용신이 많은 자는 성정이 일정치 않다)라고 용신이 많은 자를 설명한다. 用神不可損傷육오산인은 ‘삼명통회’에서, 經云 用神不可損傷 日主最宜健旺是也(經에서 말하기를 용신은 손상을 입어서는 안 되고, 일주는 건왕 함이 최고로 마땅하다)라고 용신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여기서 經이란 연해자평을 말하며 연해자평 역시 위 문구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얼마나 중요하면 인용까지 하면서 위 개념을 강조하였겠습니다. 따라서 명의 상명통회는 송의 연해자평의 정통을 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말이 희신개념으로는 설명이 안되며, 월령용신의 가장 중요한 핵심을 강조한 것입니다. 저 역시 이 부분이 용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핵심이라고 봅니다. 다시한번 정리하면 송의 연해자평, 적천수 그리고 명의 삼명통회까지는 동일한 월령용신 개념이 전해졌습니다.(위 근거를 다시한번 살펴보십시오) 그런데 정확히는 모르지만 청나라때부터 용신개념이 와전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래서 이 개념을 바로 잡고자 나온 책이 바로 청의 자평진전입니다. 그러나 결국 임철조,서낙오 등의 세력에 의해 용신개념은 바로 잡히지 못하고 위 정통의 고전과 다른 희신개념의 와전된 용신개념으로 전해지고 있는 것입니다. 지금도 아무 생각 없이 그냥 가르치고 배우는 것입니다. 명리학의 가장 핵심인 용신개념이 와전되었다는 것은 다른 이론 역시 위 와전된 용신개념에 꿰어 맞쳐 있다는 얘기로, 결국 와전된 껍데기만 전해졌다고 할 수 있으니 참고할 가치 조차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우주에 부합하는 원리입니다. 원리로는 매우 쉽게 설명할 수 있고, 또 동영상으로 설명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진리를 진정한 이치로서 인정하는 것보다는 다수의 세력으로 인정하려는 세태이다 보니.... 쉽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세는 잃을 망정 진리가 사라지겠습니까.^^
2005.3.16.안초두서 없는 글이 었습니다.
제목: re: 와전된 용신개념 글쓴이: 청학 날짜: 2005.03.17. 10:16:04 귀한 답변 감사 합니다.
삼명통회 목차
1. 원조화지시 2. 오행생성 3. 오행생극 4. 간지원류 5. 심간명자지의논 6. 십이지명자지의논 7. 총론납음 8. 납음취상 9. 육십갖자성질길흉 10. 오행 11. 하도흥범오행 12. 천간음양생사 13. 지지 14. 십간분배천문 15. 십이지분배지리 16. 지지속상 17. 인원사사 18. 사시절기 19. 일각 20. 시각 21. 태양전차태음납갑출입회합 22. 오행왕상휴수사ㆍ기생십이궁 23. 둔월시 24. 연월일시 25. 태원 26. 명궁 27. 대운 28. 소운 29. 태세 30. 총론세운 31. 진교퇴복 32. 십간합 33. 십간화기 34. 지원육합 35. 지원삼합 36. 장성화개 37. 함지 38. 육해 39. 삼형 40. 충격 41. 십간록 42. 금여 43. 역마 44. 총론녹마 45. 천을귀인 46. 삼기 47. 천월덕 48. 태극귀 49. 학당사관 50. 정인 51. 덕수 52. 겁살망신 53. 겁살십육반 54. 망신십육반 55. 양인 56. 공망 57. 원진 58. 암금적살 59. 재살 60. 육위 61. 구교 62. 고신과수 63. 천라지망 64. 십악대패 65. 간지제자잡범신살 66. 총론제신살 67. 인신사해호환신살 68. 자오묘유호환신살 69. 진술축미호환신살 70. 전투항복형충파합 71. 십간좌지ㆍ득월시ㆍ행운길흉 72. 십이월지득일간길흉 73. 오행시지분야길흉 74. 십간생월길흉 75. 납음취용가 76. 고인립재관인식명의 77. 정관 78. 편관 79. 정재 80. 편재 81. 편정재합론 82. 인수 83. 도식 84. 잡기 85. 상관 86. 식신 87. 녹마비천 88. 도충록 89. 양인 90. 건록 91. 잡취각격 92. 자평설변 93. 성정상모 94. 질병오장육부소속간지 95. 빈철흉악 96. 수요 97. 여명 98. 소아 99. 육친 100. 태아성별구별법 101. 갑일갑자시-무일계해시 102. 기일갑자시-계일계해시 103. 간명구결 104. ...(하략)
『삼명통회』는 고법 삼명학과 신법 자평학의 모든 이론을 망라한 명리학의 백과사전이며 귀중한 국가지식으로 인정되어 <사서전서>에 수록되었다. 명대 이전의 모든 명리학설은 <삼명통회>로 흘러들어가 융합되었고, 명대 이후의 모든 명리학은 <삼명통회>로부터 파생되어 나온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명리학의 깊고 넓은 지혜를 깨우칠 수 있다 |
삼명통회 간단하게 맛보기
[1] 지지(地支), 십이지지(十二地支)
지지(地支)는 다음 십이자(十二字)를 말하는 것이다.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이것을 십이지지(十二地支) 또는 십이지(十二支/十二枝)라고 하며, 십이지(十二支)는 땅(地)의 기(氣)로서 땅(地)의 오행(五行)을 나타내는 글자다. 십이지(十二支)를 구별하면 다음과 같다. 자(子)는 수(水)에 속한다. 축(丑)은 토(土)에 속한다. 인(寅)은 목(木)에 속한다. 묘(卯)는 목(木)에 속한다. 진(辰)은 토(土)에 속한다. 사(巳)는 화(火)에 속한다. 오(午)는 화(火)에 속한다. 미(未)는 토(土)에 속한다. 신(申)은 금(金)에 속한다. 유(酉)는 금(金)에 속한다. 술(戌)은 토(土)에 속한다. 해(亥)는 수(水)에 속한다. 인묘(寅卯)는 목(木)에 속한다. 사오(巳午)는 화(火)에 속한다. 신유(申酉)는 금(金)에 속한다 해자(亥子)는 수(水)에 속한다. 진술축미(辰戌丑未)는 토(土)에 속한다.
[2] 십이지(十二支)의 음양(陰陽)
(1) 천간(天干)은 기세(氣勢)로서 남자(男子)에 배정(配定)하여 양(陽)으로 하고, 지지(地支)는 기상(氣象)을 받아 형상(形象)을 이루므로 물질(物質)로서 여자(女子)에 배정(配定)하여 음(陰)으로 한다. 따라서 천(天)을 양(陽)이라 하고, 지(地)를 음(陰)이라 하여 천지(天地)의 음양(陰陽)이 상교(相交)하여 삼라만상(森羅萬象)을 이룬다. 천간(天干):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양간(陽干): 갑병무경임(甲丙戊庚壬) 음간(陰干): 을정기신계(乙丁己辛癸), 계신기정을(癸辛己丁乙)양순음역(陽順陰逆) 순환야(循環也)라. 양(陽)은 순행(順行)하고, 음(陰)은 역행(逆行)하며 순환(循環)한다. 지지(地支)는 사시(四時)가 유행(流行)하는 순서(順序)다. 십이지(十二支)는 음양(陰陽)으로 분류(分類)하고, 또한 십이개월(十二個月)에 배정(配定)하여 월건(月建)이라 하며, 춘하추동(春夏秋冬)과 동서남북(東西南北)의 방위(方位)로 구분(區分)하며, 십이지(十二支)로써 소위(所謂) 열두 띠를 나타내기도 한다.
십이지(十二支)를 구별(區別)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地支):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양지(陽支): 자인진오신술(子寅辰午申戌) 음지(陰支): 축묘사미유해(丑卯巳未酉亥), 축해유미사묘(丑亥酉未巳卯) 양순음역(陽順陰逆) 순환야(循環也)라. 양(陽)은 순행(順行)하고, 음(陰)은 역행(逆行)하며 순환(循環)한다. 자(子)는 수(水)에 속하며 양(陽)이며 11월(十一月)이고 정북(正北)이다 .(쥐)축(丑)은 토(土)에 속하며 음(陰)이며 12월(十二月)이다. (소)인(寅)은 목(木)에 속하며 양(陽)이며 일월(一月)이다. (범)묘(卯)는 목(木)에 속하며 음(陰)이며 이월(二月)이고 정동(正東)이다. (토끼)진(辰)은 토(土)에 속하며 양(陽)이며 삼월(三月)이다. (용)사(巳)는 화(火)에 속하며 음(陰)이며 사월(四月)이다. (뱀)오(午)는 화(火)에 속하며 양(陽)이며 오월(五月)이고 정남(正南)이다. (말)미(未)는 토(土)에 속하며 음(陰)이며 유월(六月)이다. (양)신(申)은 금(金)에 속하며 양(陽)이며 칠월(七月)이다. (원숭이)유(酉)는 금(金)에 속하며 음(陰)이며 팔월(八月)이고 정서(正西)이다. (닭)술(戌)은 토(土)에 속하며 양(陽)이며 구월(九月)이다. (개)해(亥)는 수(水)에 속하며 음(陰)이며 시월(十月)이다. (돼지)
[3] 십이지(十二支)의 음양(陰陽)
(2)
하이복유인묘(何以復有寅卯) 그럼 어째서 목(木)에는 갑(甲)과 을(乙) 이외(以外)에 또 인(寅)과 묘(卯)가 있을까?
인묘자(寅卯者) 우여갑을(又與甲乙) 분음양천지(分陰陽天地) 이언지자야(而言之者也) 인묘(寅卯)는 갑을(甲乙)처럼 음양(陰陽)으로 나뉘는데, 갑을(甲乙)은 천간(天干)인데 비하여 인묘(寅卯)는 지지(地支)인 것이 다르다.
이갑을이분음양(以甲乙而分陰陽) 즉갑위양(則甲爲陽) 을위음(乙爲陰) 갑을(甲乙)을 음양(陰陽)으로 나누면 갑(甲)은 양(陽)이며 을(乙)은 음(陰)이다.
목지행어천(木之行於天) 이위음양자야(而爲陰陽者也). 갑을(甲乙)은 목(木)이라는 오행(五行)이 하늘에서 음양(陰陽)으로 나뉜 것이다.
이인묘이분음양(以寅卯而分陰陽) 즉인위양(則寅爲陽) 묘위음(卯爲陰) 인묘(寅卯)를 음양(陰陽)으로 나누면 인(寅)은 양(陽)이고 묘(卯)는 음(陰)이다.
목지존호(木之存乎) 지이위음양자야(地而爲陰陽者也). 인묘(寅卯)는 목(木)이라는 오행(五行)이 지지(地支)에서 음양(陰陽)으로 나뉜 것이다.
이갑을인묘이통분음양(以甲乙寅卯而統分陰陽), 갑을(甲乙)‧인묘(寅卯)를 총괄적(總括的)으로 음양(陰陽)으로 나누면 즉갑을위양(則甲乙爲陽) 인묘위음(寅卯爲陰)갑을(甲乙)은 양(陽)이고 인묘(寅卯)는 음(陰)이다.
목지재천성상(木之在天成象) 이재지성형자야(而在地成形者也). 목(木)의 오행(五行)은 하늘에서 상(象)을 이루고, 지지(地支)에서 형(形)을 이루는 것이다.
갑을행호천(甲乙行乎天) 갑을(甲乙)이 하늘에서 유행(流行)하면 이인묘수지(而寅卯受之) 인묘존호지(寅卯存乎地) 이갑을시언(而甲乙施焉). 인묘(寅卯)는 땅에서 이를 받아들여 시행(施行)하는 것이다.
시고갑을여장관(是故甲乙如長官) 인묘여해관지방(寅卯如該管地方) 갑을(甲乙)은 장관(長官)과 같고, 인묘(寅卯)는 지방(地方)을 관할(管轄)하는 관리(官吏)와 같다.
갑록어인(甲祿於寅) 을록어묘(乙祿於卯) 갑(甲)의 녹(祿)은 인(寅)에 있고, 을(乙)의 녹(祿)은 묘(卯)에 있으니,여부관지재군(如府官之在郡) 현관지재읍(縣官之在邑) 이각시일월지령야(而各施一月之令也) 이는 부현(府縣)의 벼슬아치가 부임(赴任)하는 임지(臨地)와 같아서 각기(各其) 한 달 동안 명령(命令)을 집행(執行)하는 것이다.
갑을재천(甲乙在天), 고동이불거(故動而不居). 갑(甲)과 을(乙)은 천간(天干)이니 동(動)하여 멈추지 않는다. 건인지월(建寅之月) 기필상갑(豈必常甲), 건묘지월(建卯之月) 기필상을(豈必常乙), 인월(寅月)에는 어째서 항상 갑(甲)을 쓰며, 묘월(卯月)에는 어째서 항상 을(乙)을 쓰는가? 인묘재지(寅卯在地) 고지이부천(故止而不遷) 인묘(寅卯)는 지지(地支)이니 고정(固定)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갑수처이(甲雖處易) 월필건인(月必建寅) 갑(甲)이 쉽게 자리를 옮기지만 월건(月建)은 인(寅)에 두고, 을수처이(乙雖處易) 월필건묘(月必建卯) 을(乙)이 쉽게 자리를 옮기지만 월건(月建)은 묘(卯)에 두게 된다.
이기이론(以氣而論) 갑왕어을(甲旺於乙) 기(氣)를 가지고 논(論)하면 갑(甲)은 을(乙)보다 왕(旺)하고, 이질이론(以質而論) 을견어갑(乙堅於甲) 질(質)을 가지고 논(論)하면 을(乙)이 갑(甲)보다 견고(堅固)한 것이다.
이속서류론(以俗書謬論), 이갑위대림(以甲爲大林) 성이의착(盛而宜斲)속서(俗書)에서, “갑(甲)은 무성(茂盛)한 대림(大林)이니 쪼개야 좋다”고 하고, ※ 류(謬): 그르칠 류, 착오(錯誤)를 저지를 류 ※ 착(斲): 깎을 착 을위미묘(乙爲微苗) 취이막상(脆而莫傷) 가위부지음양지리자의(可爲不知陰陽之理者矣)“을(乙)은 미약(微弱)한 싹이니 상(傷)하면 아니 된다”는 따위의 말을 하는 것은 음양(陰陽)의 이치(理致)를 모르고 한 소리일 뿐이다. ※ 취(脆): 무를 취이목유추(以木類推) 여자가지(餘者可知). 목(木)의 이치(理致)를 가지고 나머지 오행(五行)의 이치(理致)도 유추(類推)할 수 있으리라. 유토위목화금수충기(惟土爲木火金水冲氣) 고기왕어사시(故寄旺於四時) 그런데 오직 토(土)는 목화금수(木火金水)의 기(氣)가 뒤엉킨 것으로 사시(四時/四季/辰戌丑未月)에 기생(寄生)하여 왕성(旺盛)하다. ※ 사시(四時): 사계(四季), 진술축미월(辰戌丑未月)이음양기질지리(而陰陽氣質之理) 역동차론(亦同此論),음양(陰陽)과 기질(氣質)의 이치(理致)가 이러하니욕학명자(欲學命者) 이수선지간지지설(以須先知干支之說) 연후가이입문(然後可以入門) 명리(命理)를 배우는 자(者)는 모름지기 먼저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이치(理致)를 알아야 비로소 입문(入門)할 수 있을 것이다.
[4] 십이지(十二支)의 사시(四時)
인묘진(寅卯辰)은 동방(東方)이며 춘(春/봄)이다. 사오미(巳午未)는 남방(南方)이며 하(夏/여름)다. 신유술(申酉戌)은 서방(西方)이며 추(秋/가을)다. 해자축(亥子丑)은 북방(北方)이며 동(冬/겨울)이다. 십이지(十二支)는 사계기후(四季氣候)에 배당(配當)하며, 자월(子月) 동지(冬至)에서 일양(一陽)이 생(生)하는 이치(理致)에 따라 자축인묘진사(子丑寅卯辰巳)까지는 양(陽)으로 보고, 오(午)의 하지(夏至)에서 일음(一陰)이 생(生)하므로 오미신유술해(午未申酉戌亥)는 음(陰)으로 본다. 시간(時間)의 음양(陰陽)은 인(寅)에서 인묘진사오미(寅卯辰巳午未)의 육시(六時)를 양(陽)으로 하고, 신(申)에서 신유술해자축(申酉戌亥子丑)은 음(陰)이다. 명리학(命理學)에서는 자인진오신술(子寅辰午申戌)의 육지(六支)는 양(陽)이고, 축묘사미유해(丑卯巳未酉亥)의 육지(六支)는 음(陰)이다. 양지(陽支)의 성(性)은 활동성(活動性)을 가지므로 동(動)하여 길흉(吉凶)이 빨리 발현(發顯)되고, 음지(陰支)의 성(性)은 정(靜)하여 화복(禍福)의 응(應)이 완만(緩慢)하다. 양지(陽支)는 적극적(積極的)이고 음지(陰支)는 소극적(消極的)이다. 양지(陽支)중에 용신(用神/生命神)이 있으면 길사(吉事)가 속(速)하고 기신(忌神)이 있으면 흉(凶)이 속(速)하다. 예(例)를 들면 양지(陽支)가 희신운(喜神運)이 되면 아직 흉운(凶運)이 거(去)하지 않는 중(中)에 길조(吉兆)가 나타나고, 만약(萬若) 음지(陰支)이면 대운(大運)이 길운(吉運)이라 할지라도 세운(歲運)에 길운(吉運)이 오지 않으면 길상(吉祥)이 안 된다.
서곡 선생 주역...복사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