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M5gp5GdLiBNcl-IiccQYT0QM41mdZQnxXlAG-9_CPdY google-site-verification=M5gp5GdLiBNcl-IiccQYT0QM41mdZQnxXlAG-9_CPdY google-site-verification=M5gp5GdLiBNcl-IiccQYT0QM41mdZQnxXlAG-9_CPdYㅍㅍㅍㅍㅍㅍㅍㅍㅍㅍㅍㅍㅍㅍㅍ google-site-verification=M5gp5GdLiBNcl-IiccQYT0QM41mdZQnxXlAG-9_CPdY [스크랩] ● 내정법 요약정리 (15:00분에 삭제예정 금일은 래정법에 관해서^^)

나의 이야기

[스크랩] ● 내정법 요약정리 (15:00분에 삭제예정 금일은 래정법에 관해서^^)

정발드 2018. 6. 29. 23:08

● 내정법 요약정리

 

1.소재학님의 내정법 

 

●1. 比劫年

 

~. 比肩 - 投資. 변동사업의 吉凶事. 자기일 보다는 남의일로 바쁘다.

~. 劫財 - 爭財. 부도. 배우자 문제(처질환. 이별. 사고). 재산상의 손해. 직장인 불화로 퇴직.

 

●2. 財星年

 

~.正財 - 학업부진. 사업상문제. 정혼문제.

~.偏財 - 학업포기. 재산소송. 남녀애정문제.

 

●3. 官星年

 

~.正官 - 신용, 명예문제. 안정추구. 직업변동.

~.偏官 - 여자 애정문제. 질병문제. 퇴직. 형액,소송문제. 사고수.

 

●4. 印星年

 

~.偏印 - 자손의 길흉. 교육문제. 우울증이나 정신질환. 시댁과의 불화. 사업부진.

~.正印 - 학문발전. 자격증. 매매매입. 유산문제. 문서(증권.수표)문제.

 

●5. 食傷年

 

~.食神 - 분주다사. 남녀인연. 주색에 관한일. 직업터전 변화.

~.傷官 - 부부문제. 여자는 정서적 불안증. 타인과 다툼. 법이나 제도거역. 도덕성문제. 학생 학교문제. 직업전환문제. 여자 남편거부문제

 

 

 

●마야스님 및 박도사의 진여비결 내정법

 

 

 

●방문시간으로 판단하는요령

 

 

卯時=선생 백정이다 이별이다 자식관재다 잠못잔자이다.관재다

辰時=망한다 토건업이다 자갈공사다 고산이면 길하다 기타 건설업

巳時=병동이다 직장 확장 진출이다 외국간다.자동차

午時=색깔있는직업이다 술장사 옷장사다 여관 음식점이다 의사약사다

未時=물과 관련된 직업이다 식당이나 창녀가 목욕탕이다 여관이다 안팔려  매매불매다 왔다 신규사업이다.불성이다

申時=슬픈사람이다 뜻대로 되지않는다 벌리면 잘않됨 .현재확장하면 흉이다 해외건계 내실화하라

酉時=요리집 돈놀이다 운수업이다 창녀다 사업시작된다.불호의다

戌時=망한다 손재수많다 잠을 못잔다

亥時=확장진출이다 발전이다 광산업이다 토건업이다

 

 

●지지합으로

 

子丑合土=너도죽고 나도죽는다 자수는 축토을 만나면 사수 극화

寅亥合木=확장진출이다 목마 천마가 수를 생을 받으면 양 역마가 합하여 죽는다.

卯戌合火=목도죽고 화도죽는다 병지다

辰酉合金=너도죽고 나도 죽는다.유금은 진화에서 사망 너죽고 나죽는다

巳申合水=확장진출 외국출장 수 외국 진출 확장하려고

午未合火=침체다 여자는 자식이 없다 딸은있다  침체 수을 기달려라  오미합녀자는 아들이없다 .

 

 

●방문일시로 보는법

 

日支(방문) 衰病死墓 驛馬
亥卯未(木) 辰巳午未
寅午戌(火) 未申酉戌
巳酉丑(金) 戌亥子丑
申子辰(水) 丑寅卯辰

 

즉 신자진 일지가  신시 미래 자진을 넣고 짖고 보라 묘시 래정에 사지이나 

해묘미을 짖고 보니 미는 양지가 된다 그리고 방합의 첫 자는 쇠이다

 


●고급포태법으로본 내정법

 

午인자에다가=갑은 사지/을은 생지/병무는 왕지/정기는 록지/경은 욕지/신은병지/임은 태지/계는 절지

 

2. 요것을

 

사오미는 쇠지

인오술은 묘지

신유술은 쇠지

사유축은 묘지

임묘진은 쇠지

해묘미는 묘지

해자축은 쇠지

신자진은 묘지

 


●양간의 生旺墓

 

甲       亥 卯 未

丙(戊)  寅 午 戌

庚       巳 酉 丑

壬       申 子 辰

 

 

●음간의 生旺墓

 

乙       午 寅 戌

丁(己)  酉 巳 丑

辛       子 申 辰

癸       卯 亥 未

 

 

 

●天干地支變化法

 

1.

           日

辰子申☜   癸  戊☞ 寅午戌

(過去)     寅午戌 :巳酉丑 =亥卯未(未來)

               時 (申子辰:現在)

 

2.         日

辰子申?辛丙?寅午戌

(過去)戌午寅 巳酉丑=未卯亥(未來)

             時   ?(申子辰:現在)

3.

 

        土 火

戌午寅 己 甲 ?亥卯未

 (過去)申辰子 寅午戌=申子辰(未來)

            日時  亥卯未(現在)

 


예을 든다면 갑자일에 왔다 하면....

 

01.甲子

 

木 火 土 金 水

比 食 財 官 文

欲 胎 胎 絶 旺

丑寅卯辰

衰病死墓

 

착하다 여자많다 중류생활 직업 험악 군경 기생 이별 도적 사기 나팔

자는 빛을 받아서 빛을낸다 화려한것 금화수를 달고오너라.

여러서 모친 생사이별 모친 때문에 근심걱정많고 불연이면 객지에서 고생하며 생활한다

뜨거운 음식을 잘먹고 인자하고 어질다 미남이다 여자가 많이 따른다 위식도암 조심하라 상업은 불가다 신용이 없다

남명=투기하면 망한다 흥왕성패가많다.고집이있고 관직이길하다 인물은 좋다 보수적이며 자존심이강하다

여명= 고집세고 부부이별수가 있다 묘가 옆에 붙어있으면 음모가 없다 (자묘자형)

투기 산부인과 간호원 간통.남자누르고 주머니2개 욕심다 남자무시

갑은 금에 절지 화에 태와 목생화 자는 욕지와 식상이병 금관은 사지에 있다 그러니 쓸모가 없고 토재가젖줄이길이다 재는걸인이요 관도끝

평생무직 여자도 끝.밥도끝. 여자로인한 탕진 파산 돈도 자꾸 삭아진다.멎쟁이 많다.

진자신=진짜 찐짜 신난다 집사서 3년세주고 다시 찼아간다

사유축=좋아진다 세도부리는사람

오술=않된다 크게 발릴려고 과부다 병은 치질이다

미묘해=여자는과부다 돈은 없느나 된다

신자진=슬픈사람 벌리려 왔다 벌리면 죽는다 그대로하라 7년전에 하던일 다시하면 길하다

사신이빠저서 유축=너죽고 나죽는다 자축 진유합이면 암병이들어왔다

 

 


●이수님 및 계의신결 내정법

 

 

 相對者의 貧富貴賤으로

 

과유불급설

 

1. 日辰의 地支를 기준으로 日支 포함, 三位의 글자는 이미 ‘지는 해’로 간주한다. 

※ 예를 들어 甲子日에 만난 상대가 子에서 세 번째 글자 寅, 범띠면 최근의 형편이 困窮한 사람으로 판단한다.

덧붙여 이와 三合이 되는 글자에 속하는 午戌, 말띠와 개띠의 상황도 어렵기는 마찬가지.

2. 日辰의 地支를 기준으로 日支 포함, 四位의 글자는 이미 ‘떨어진 해’로    ‘터널의 끝’에 다다른 입장으로 비유된다. 위의 경우에 비해 별반 나을 게 없고,    다만 체념의 기간으로 분투하는 면에서는 三位의 글자보다 한결 주변이 정돈된 입장으로 간주한다.

 


※ 예를 들어 甲子日에 만난 상대가 子에서 네 번째 글자 卯(逆으로는 열 번째 글자), 토끼띠면 貧寒하여 여유가 없는 사람으로 판단한다. 덧붙여 이와 三合이 되는 글자에 속하는 亥未, 돼지띠와 양띠의 상황도 마찬가지.

3. 日辰의 地支를 기준으로 日支 포함, 三位의 글자를 沖하는 글자는

   ‘형세나 세력 따위가 한창 왕성한 시기’로 추리한다. 富와 권세가 있는 자로 본다.


※ 예를 들어 甲子日에 만난 상대가 子에서 세 번째 글자 寅을 沖하는 申, 원숭이띠면 富貴한 자로 판단한다.

덧붙여 이와 三合이 되는 글자에 속하는 子辰, 쥐띠와 용띠의 상황도 全盛의 상황이다.

4.  ‘1,2,3’에 속하지 않는 三合의 세 글자가 生年에 해당하는 이들은 모두 넉넉한 형세로  안정된 생활을 펴는 부류로 간주한다.

이상은 根苗花實의 진전 상황과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사물이 정점에 도달할 때 惡氣가 발생하고 점차 空虛해짐을 뜻한다. 다시 말해 ‘차면 기울고, 기울면 逆轉反起’한다는 의미니 過猶不及과 같은 얘기가 된다.

〈2〉귀인상대설

‘과유불급설’이 상대의 빈부귀천 여부에 주안을 두는 것에 비해 ‘귀인상대설’은 나타나 보이는 현재의 상태를 짐작하는데 보다 유리하다. ‘귀인상대설’은 日辰의 日干에서 天乙貴人이 되는 글자가 속하는 三合 五行을 기준으로 상대의 生年 글자가 속하는 三合 五行이 어느 六神에 속하는 지를 살펴 형편을 추리하는 방법인데, 六壬에서 쓰는 일종의 방식과 맥락이 통한다.

보통 활동시간에는, 日干의 天乙이 되는 글자는 陽貴人으로 정한다.

陽貴人을 취하는 법은 先天의 坤에서 甲을 일으켜 나머지 天干을 順行하는데 對宮과 魁?과 起宮을 건너뛰니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이를테면 甲을 子에서 일으키는데, 甲은 己와 合하니 子는 己의 陽貴가 되고, 乙은 庚과 合하니 丑은 庚의 陽貴가 되며, 丙은 辛과 合하니 寅은 辛의 陽貴가 되는 식이다. 간단히 표로 나누어 배정하면 다음과 같다.

日辰의干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天乙貴人 未 申 酉 亥 丑 子 丑 寅 卯 巳

이상과 같이 日干의 天乙 地支가 정해지면 해당 글자의 三合 五行을 염두에 두고, 상대자의 生年 글자 三合 五行이 比食財官印 중 어느 六神에 속하는 지를 살펴 형편의 내용을 추리한다. 의미의 대략을 분간하면 食財를 이롭게 보고, 印을 平으로, 官比를 불리하게 판단한다.


比  무위한 세월이거나, 경쟁 상태에 놓인 자다.

食  진로가 열리고, 풍요로움을 실감하는 자다. 良緣

財  부귀한 자다. 貴緣 

官  심히 고충을 겪고 있는 자다. 惡緣 

印  아직 이룬 것은 없이 노력하는 과정에 있는 자다.


※ 예를 들어 丙寅日에 만난 상대가 卯, 토끼띠면 그는 부귀한 사람으로 판단한다.

 


※ 陽貴人  조견표

日辰의干  陽貴五行 比(年生) 食(年生) 財(年生) 官(年生) 印(年生)

甲丁壬       木         亥卯未   寅午戌     -        巳酉丑    申子辰

丙戊庚癸    金         巳酉丑   申子辰  亥卯未   寅午戌      -

辛             火         寅午戌     -        巳酉丑   申子辰   亥卯未

乙. 己        水         申子辰   亥卯未   寅午戌        -      巳酉丑

비  고 -                   불리      양호      대길       최흉      평이

 


日辰의干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玉   堂  丑 子 亥 酉 未 申 未 午 巳 卯


통상 來情을 행하는 시각을 기준으로 해가 졌다면 陰貴를 貴人으로 삼아 판단하게 되는데, 각 지역의 해가 뜨고 지는 시각은 民曆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는 陽貴를 적용했을 때와 상황이 약간 달라지므로 다음의 조견표를 활용하면 용이하다.

 

日辰의干   陰貴五行 比(年生) 食(年生) 財(年生) 官(年生)印(年生)

丙戊庚癸    木         亥卯未    寅午戌    -         巳酉丑   申子辰

甲丁壬       金         巳酉丑    申子辰   亥卯未   寅午戌      -

辛             火         寅午戌        -      巳酉丑    申子辰  亥卯未

乙己          水         申子辰     亥卯未  寅午戌      -       巳酉丑

비 고          -         不利         良好      大吉      最凶

 

 


●계의신결

 

 

비견은 分祿(분록)이라 하고,

겁재는 耗殺(모살)이라 한다. 식신은 그대로 식신이고

상관은 盜殺(도살)이라 한다

편재와 정재는 그대로 쓴다

정관은 그대로 정관이고

편관은 鬼殺(귀살)이라 한다

정인은 그대로 정인이고

편인은 ?  梟殺(효살)로 칭한다.

 


`세응`. 世는 주체고 應은 객체다. 또는 體와 用같은 개념이다.

요렇게 세응이를 구하고,  해당 시점의 干支로 動爻(동효)를 삼는다.

 


1. 占을 치기 위해서는 `세응`이가 필요

ⓐ 부모를 점치고자 한다면 年干이 世, 年支가 應이 된다. 기타 국가대사, 상사 (웃어른) 등...

ⓑ 형제, 朋友라면 月干이 世, 月支가 應이 될 거고...

ⓒ日干이 世, 日支 應....

ⓓ 자손의 부하의 일이라면...

 


2. 다음은 動爻다. 時干支의 六神으로 吉凶을 가늠한다.

 

 

`동효`는 `뭔 일이 났나`를 짐작케 하는 요因이 된다.

★ 動爻의 포인트는 時干에 두라. 時支의 相生이나 生旺地 여부를 살펴 세기를 조율하거라.

 


來人貧富法

來人의 빈한함과 부유함을 어찌 알 것인가?

ⓐ 七殺, 盜殺, 梟殺, 耗殺이 動하면 `가난하다.

※ 만일 日干 體를 둘러 싼 月干支가 양호하다면 그 자는 비록 부유한 출신이나 부유하였으되, 지금은 어려운 자다.

 


ⓑ 印綬, 食神, 財神, 祿神이 動하면 부유하거나 좋은 가문 출신자니라.

 


 來意

來訪客의 온 뜻을 알고자 한다면 응당 時干 動爻로 먼저 추리한다.

官이 動하면 관청, 지위, 송사, 소환 등의 일이다.

殺이 動하면 관액, 질병, 피해, 시급한 일이다.

印이 動하면 명예, 문서 상의 吉事를 묻는다.

梟가 動하면 허위, 사기, 소모 등의 일이다.

祿이 動하면 동업, 형제, 붕우, 정분, 가약 등의 일이다.

劫이 動하면 시비, 투쟁, 손재, 경쟁 등의 일이다.

食이 動하면 주식, 경사, 자손 등의 일이다.

傷이 動하면 파직, 도적, 분실, 구설 등의 일이다.

財가 動하면 처첩, 재백, 투자, 거래, 건강 등의 일이다.

時에 驛馬와 地煞이 임하면 이 사람은 出行할 사람이다.

 

 


 來人 貧富貴賤忠逆

  來人貴賤

來訪客의 貴賤을 어찌 아는가.

日干을 四吉神이 감싸면 그는 貴한 者다.

年月干이 日干의 祿이거나 인이면 군주를 대하고 천거를 받는 상이다.

日干이 年月干을 剋하면 상관을 능멸하다 화를 당할 者다.

日干이 年月干을 生하면 윗사람을 잘 섬겨 득명할 象이다.

貴人과 祿財가 旺相한 者는 비록 官이 없어도 진급, 영전하게 된다.

가령 寅月 丁酉日 甲辰時의 來訪客이라면 가히 그러할 것이다.

年月干이 日干을 剋하고, 官祿이 休囚된 者는 落職하고 한미하게 될 것이다.

가령 庚年 庚申月 甲申日의 來訪客이라면 貴한 상대로 보기 어려울 것이다.

 


  來人貧富

來訪客의 부유함과 貧寒함은 어찌 아는가.

來訪時의 八字에 食財가 유기해야 부자다.

梟劫이 旺相하면 가난이 침범할 것이다.

일점의 食財가 없고 官殺이 重하면 貧賤함을 면할 수 없다.

가령 寅月 甲子日 丙寅時에 來訪한 이가 어찌 부유하지 않을 수 있으랴.

 來人忠逆

年月干을 日干이 相生하는 者는 忠이 있다.

年月干과 日干이 비화되면 윗사람과 친밀하다.

年月干이 日干을 剋하면 추방당한다.

年月干을 日干이 剋하면 忠을 배반한다.

年干과 日干이 合하면 陰日干은 절개하나 陽日干은 겉으로만 忠을 나타낸다.

이렇게 忠逆은 다만 生剋과 비화만을 볼 따름이요, 凶神을 따로 논하지 않는다.

 


 六親空亡

六親의 有無와 안위를 살필 때는 空亡에 재차 주목해야 한다.

空亡을 보는 법은 다음과 같다.

대개는 日柱를 중심으로 空亡의 두 글자를 채택한다.

이렇게 도출된 空亡의 글자는 干支 세 가지 관점에서 모두 조율해야 한다.

가령 壬子 日柱의 空亡은 地支 寅卯로, 이것은 天干 甲乙 또한 空亡임을 시사한다.

 

 

 

먼저, <日干 대 時支>의 관계로


' 時支가 建祿의 글자면, 녹봉, 직책 등과 관련해 吉事를 예고합니다.

' 時支가 劫財의 글자면, 주변 사람과의 쟁투, 배신사, 소송사를 예고합니다.


' 時支가 食神의 글자면, 진로가 열리고 의식이 풍족해짐을 예고합니다.

' 時支가 傷官의 글자면, 자손이나 수하로 인한 고충이나 좌천, 판단착오 등을 예고합니다.

' 時支가 財의 글자면, 재정이 풍요로워짐을 예고합니다.

' 時支가 官의 글자면, 승진이나 좋은 보직, 호평을 예고합니다.

' 時支가 殺의 글자면, 구설, 관액을 예고합니다.

 


다음은, <日支 대 時支>의 관계로

' 日支의 글자와 時支의 글자가 같으면, 접(接)이라 해서 전반사가 꼬이기 쉽고,

  특히 四凶神의 글자가 겹치면, 일신의 횡액을 조심해야 합니다.

' 時支의 글자가 日支를 生하면, 주변 사람의 협조를 구할 수 있고,

  日支가 時支를 生하면, 타인을 돕는다는 암시가 있습니다.

' 時支의 글자가 日支를 剋하면, 상황이 역전되는 암시가 있고,

  日支가 時支를 剋하면, 현재 상황이 당분간 지속됨을 예고합니다.

 

 

 

相對者의 目的을 헤아리는 법

[1] 日支 三合 분류 - 來訪 목적

1. 來訪日이 寅, 午, 戌日일 때,

名譽와 관련된 문제다. 심경은 울화가 치미거나 압박감, 충동적이 되기 쉽다. 寅日에는 심기가 겉으로 표출되며, 午日에는 잘 나타나지 않고, 戌日에는 감추려 한다.

2. 來訪日이 巳, 酉, 丑日일 때,

財物이 연관된 문제다. 결단을 내리려는 심사로 인간관계라면 絶交 여부를 묻는다.

3. 來訪日이 申, 子, 辰日일 때,

愛情이 개입된 문제다. 情으로 인해 우유부단해지기 쉬우며 모질지 못하다.

4. 來訪日이 亥, 卯, 未日일 때,

깨지고 변화하는 시점이다. 이미 瑕疵가 발생한 일, 마음을 접은 상대 등 과거완료형의 사안을 묻는다.

[2] 四孟, 四旺, 四庫 분류 - 來情 결과

來訪 日辰이 辰, 戌, 丑, 未 庫의 글자에 속하면 來訪者가 의도하거나 실행하는 일의 결과가 不成, 무효로 귀결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이 날 찾아 온 사람은 대부분 배우자와 떨어져 살거나, 別居, 각방을 쓰는 경우가 많다.

반면 寅, 申, 巳, 亥의 孟에 해당될 시는 다소간의 우여곡절이 있어도 來訪者의 질문이나 의지에 긍정적인 답변과 결과를 암시한다.

이외 四旺은 글자 자체로 긍정과 부정의 기준으로 삼지 않는다. 통상 十二支殺과 연계해서 가부를 정해지는 편이다.

 


[3] 十二支殺 분류 - 來訪 행태

1. 來訪 日辰이 劫煞에 해당할 때,

인생의 중대사를 놓고 별다른 준비도 없이 성급하게 무작정 내방하는 경우가 많다.

※ 가령 巳, 酉, 丑年生이 寅日 내방하면 劫煞에 속해 傲氣(오기)나 감정이 실린 상태에서 본인 인생의 중대사, 이를테면 결혼이나 진로 변경 등의 문제로 가부 여부를 물어온다.

2. 來訪 日辰이 災煞에 해당할 때,

각종 災殃이 발생하고, 이미 厄運이 침범한 상태로 주변의 비난을 사는 처지다.

※ 가령 寅, 午, 戌年生이 子日 내방하면 災煞(재살)에 속하고, 子에서 세 번째 글자에 해당되어 몹시 난처한 지경에 처한 이로 추리한다.

3. 來訪 日辰이 天煞에 해당할 때,

자신의 무능함을 한탄하며 한숨을 내쉬거나, 주변을 믿지 못해 갈등할 때가 많다.

※ 가령 申, 子, 辰年生이 未日 내방하면 天煞에 속하고, 재능과 능력에 비추어볼 때 애당초 버거운 일을 묻는 경우가 있다.

 


4. 來訪 日辰이 地煞에 해당할 때,

왠지 불안, 초조하거나 답답하고 울적한 기분에 젖어들기 쉽다.

※ 가령 申, 子, 辰年生이 申日 내방하면 地煞에 속하고, 외톨이가 된 기분에 우울하고 울고 싶을 지경이다.

5. 來訪 日辰이 年煞에 해당할 때,

들뜬 심정에 일탈이나 외유, 외도를 일삼고 있을 가능성이 짙다.


※ 가령 申, 子, 辰年生이 酉日 내방하면 年煞에 속하고, 현재의 교제를 이어갈지, 절교해야 할지를 물어온다.


6. 來訪 日辰이 月煞에 해당할 때,

이혼이나 이별 단계에 있으면서 배우자를 두고 애인을 동행하여 내방하는 경우가 많다.

 


  ※ 가령 寅, 午, 戌年生이 辰日 내방하면 月煞에 속하고, 애정 관계에 배신과 갈등이 상존한다.

7 . 來訪 日辰이 亡身煞에 해당할 때,

이미 실패를 겪고 망신을 당했거나 당하는 중으로 향후의 성패 여부를 묻고 있다.

※ 가령 寅, 午, 戌年生이 巳日 내방하면 亡身煞에 속하고, 이전에 성취하지 못한 중대사의 결정 여부를 묻는다.

 


8. 來訪 日辰이 將星煞에 해당할 때,

혼사, 취업, 개업 등의 경사를 물어오고 대개 긍정적인 답변을 들을 수다. ※ 가령 巳, 酉, 丑年生이 酉日 내방하면 將星煞에 속하고, 혼사나 진로 변경 등의 새로운 신상의 변화에 대해 묻는다.

 


9. 來訪 日辰이 攀鞍煞에 해당할 때,

대개 합격, 승진, 혼사 등 吉事를 물어오고 좋은 결과를 내기 쉽다.

 


※ 가령 亥, 卯, 未年生이 辰日 내방하면 攀鞍煞에 속하고,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신상의 좋은 변화를 꾀하고자 한다.

 


10. 來訪 日辰이 驛馬煞에 해당할 때,

변동, 이주, 여행과 관련된 수로 이동할 처지에 놓인다.

※ 가령 亥, 卯, 未年生이 巳日 내방하면 驛馬煞에 속하고, 신상에 이동과 변화가 수반되며 대개 불리한 여건에 놓인다.

 


11. 來訪 日辰이 六害煞에 해당할 때,

사고, 재난 등을 암시하며 주로 後嗣(후사)와 관련된 사안을 묻는다.

※ 가령 亥, 卯, 未年生이 午日 내방하면 六害煞에 속하고, 재난이나 사고에 대한 우려 등과 함께 자녀 문제의 吉凶 관계를 물어온다.

 

 

12. 來訪 日辰이 華蓋煞에 해당할 때,

지난 인연, 과거에 행한 일 등과 연관된 일을 물어온다.

※ 가령 巳, 酉, 丑年生이 丑日 내방하면 華蓋煞에 속하고, 재회나 재혼 내지 반복된 일을 묻는다.

 

 

●日支 유형 분류

1. 子日 내방

사람과의 情과 관련된 일이다. 타인과의 인간관계에서 이해타산적인 입장에 서지 못해 결단을 내리기 쉽지 않은 태도를 보일 때가 많다. 우유부단한 성격상의 결함을 드러내는 경향이 있다.

申子辰 生은 혼사나 취직 등의 문제로 확신이 부족한 상황이나 좋은 소식이 있다.

巳酉丑 生이 자식의 문제로 걱정한다면 해결될 문제다.

寅午戌 生은 이미 厄運이 침입했으니 隣近의 비난으로 현지를 떠나야 할 처지다.

亥卯未 生은 일탈, 외도, 외유 등과 관련되어 막연히 불안한 심리다.

 

 

 

2. 丑日 내방

금전, 재물 등과 관련 부정적인 상황에서 단정을 내린 입장이다. 남녀, 夫婦 관계가 좋지 않은 상태로 絶交 여부를 물을 공산이 크다. 이날 취한 결단이나 행동은 성취되지 않고, 무효로 끝나기 쉽다.

巳酉丑 生은 과거에 반복된 일을 묻고 있다.

寅午戌 生은 상대를 믿지 못해 괴로운 경우다.

亥卯未 生은 애인을 동행한 채 배우자와의 이혼을 묻고 있다.

申子辰 生은 그간의 공백상태에서 중대사를 앞두고 결단을 내릴 태세다.

3. 寅日 내방

명예와 위신에 관련된 문제다. 대략 사업, 행업 등의 成敗를 묻는 날이다. 압박감, 進退兩難의 심정, 감정이 폭발할 것 같은 심정이다.

寅午戌 生은 마음속이 답답하여 일어나는 화가 있다.

亥卯未 生은 이미 한번 실패를 당한 상태에서 成敗, 회복 여부 등을 묻는다.

申子辰 生은 落職, 左遷(좌천) 등 신상의 불리한 변동사와 관계 있다.

巳酉丑 生은 금전과 연계된 중대사로 준비 없이 성급하게 무작정 찾아온 이다.

 


4. 卯日 내방

무언가가 깨지고 파기된 상태에서 심한 갈등이 있다. 행업이나 가정사에 瑕疵가 발생한 상황이다. 변동된 상황에서 새로운 진로를 모색해야 하는 순간이다.

亥卯未 生은 혼사, 개업 등 吉事를 묻는다.

申子辰 生은 사고나 後嗣와 관련된 문제다.

巳酉丑 生은 退職, 轉出, 離婚 등 돌이키기 어려운 문제로 고심 중이다.

寅午戌 生은 새로운 전기를 맞아 들뜬 심정이다.

 

 

 

5. 辰日 내방

간사해지고 교활한 심사가 되기 쉽다. 경쟁자를 앞서려는 심리가 지배하고, 가까운 사람을 배신하려는 기운이 있다. 도를 넘는 언행이나 억지를 부리기도 한다.

申子辰 生은 옛정과 관련된 일을 묻는다.

巳酉丑 生은 주변을 믿지 못해 갈등한다.

寅午戌 生은 배우자를 배신하는 행위를 하고 있다.

亥卯未 生은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는 공격적인 태세다. 

 

 

6. 巳日 내방 

 


급한 처지의 금전적인 문제가 주다. 변화를 통해 명예회복이나 再起를 도모하고 있다. 조급하게 구는 경향이 있지만 대개 결과는 무난하다.

巳酉丑 生은 비난을 받는 상태에서 벗어나길 희구한다.

寅午戌 生은 한번 실패를 겪은 중대사의 결정 여부를 묻고 있다.

亥卯未 生은 진로 변경이나 교제 중단 등을 결심하고 있다.

申子辰 生은 아직 무르익지도 않은 일을 묻고 있다. 

 


7. 午日 내방

명성이나 吉慶事와 관련이 있다. 주로 가정사가 주로 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는다. 사업이나 직장부터 시작해 가정에 이르기까지 두루두루 물어온다.

寅午戌 生은 혼사나 취업 등의 吉事를 묻는다.

亥卯未 生은 실체가 불분명한 재난이나 자녀 문제를 주로 묻는다.

申子辰 生은 형벌, 배신의 계절이다.

巳酉丑 生은 이미 허욕, 외유 등에 빠진 상태다.

 


8. 未日 내방능력은 부족하고 꿈은 앞서는 자다. 근거가 없이 주관적인 신념이 강한 경향이 짙다. 이날 문의하는 내용에 대한 결론은 거의 부정적이다.

亥卯未 生은 再會 등 지난 일을 묻고 있다.

申子辰 生은 재능과 능력에 버거운 일을 묻는다.

巳酉丑 生은 가정사에 문제가 발생했다.

寅午戌 生은 혼사나 취직 등 신상에 발전적인 변동사가 있다. 


9. 申日 내방

愛情과 愛憎의 문제가 주다. 자신감이 부족하고 불안감이 이는 기색이다. 이기적인 성향을 드러낸다.

申子辰 生은 고립된 기분에 울적한 심정이다.

巳酉丑 生은 도를 넘는 언행을 보이거나 과욕을 부린다.

寅午戌 生은 주변 환경이 불리하게 변한다.

亥卯未 生은 금전과 연관된 가정사를 묻는다.


10. 酉日 내방

재물의 손실과 관련이 깊다. 부족한 지식으로 모르는 분야에 투자한 격이다. 중대한 결단을 내릴 시점이다.

巳酉丑 生은 결혼, 개업, 취직 등 새로운 변화를 문의한다.

寅午戌 生은 금전적인 손실로 고민일 경우가 많다.

亥卯未 生은 가까운 이들로부터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다.

申子辰 生은 인연을 지속할지, 단절할지 고민하고 있다.

 


11. 戌日 내방

하는 일에 두서가 없이 안정감을 잃은 자다. 일상을 탈피하려는 충동이 인다. 과거지사와 관련된 문제가 주다.

寅午戌 生은 재회나 재혼 등 중복되는 인사를 묻는다.

亥卯未 生은 답답하고 탄식할 일이 있다.

申子辰 生은 순탄치 않은 가정사를 언급한다.

巳酉丑 生은 주로 자랑스러운 태도로 좋은 일을 묻는다.


12. 亥日 내방

새로운 일과 관련이 있다. 이미 문제가 발생해서 과거는 도리가 없는 경우다. 도약과 발전의 계기를 맞은 셈이다.

亥卯未 生은 돌이킬 수 없는 과거에 답답한 심경이다.

申子辰 生은 과욕이 부른 실패로 망신수다.

巳酉丑 生은 이주나 이동할 처지에 놓인다.

寅午戌 生은 성급한 결단이나 태도를 나타낸다.

 

 

 

●박일우님의 낙화법수 내정법

 

 

오진명반법

 

 

 

_____ 경험하지아니한 미래_               ←      →경험한과거

미래오진  미래4진  미래3진  미래2진   오늘일진  과2진  과3진  과4진 과5진

궤도이탈  내방목적  낙화     고민살               증오살

가출방향                     음욕살        庚        암시살

   申        未         午        巳         辰         卯       寅      丑      子

    _      실      화      근       묘       화     묘     근   -

     -    ×      ××

          丑       子      亥       戌

       과4진    과5진    즐거움  해결됨

 

●4진 내방목적=온 손님의 내방목적을 알게된다=열매는 없다

子卯午酉=대인관계문제(사람과 사람문제)

寅申巳亥=돈 재물문제

辰戌丑未=생사문제

 

●과2진의 증오살이=정관이다=형살이나=백호살=이혼한다.

     이것이 충된 반대인자는=사랑을 얻는다 신용을 얻는다

●미래2진=고민살 음욕살=사람과거래문제 등의고민 한편 남여 이성문  제로 언쟁 투쟁 혈투 고소사건 골육사건.

●과3진=살아있는것  그러나 과거 이탈을 경험한자.

출처 : 역학동
글쓴이 : 커피콩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