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M5gp5GdLiBNcl-IiccQYT0QM41mdZQnxXlAG-9_CPdY google-site-verification=M5gp5GdLiBNcl-IiccQYT0QM41mdZQnxXlAG-9_CPdY google-site-verification=M5gp5GdLiBNcl-IiccQYT0QM41mdZQnxXlAG-9_CPdYㅍㅍㅍㅍㅍㅍㅍㅍㅍㅍㅍㅍㅍㅍㅍ google-site-verification=M5gp5GdLiBNcl-IiccQYT0QM41mdZQnxXlAG-9_CPdY [스크랩] Two of Swords

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Two of Swords

정발드 2016. 10. 20. 13:52

 

 

 

이미지 리딩(Image Reading)을 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명상을 할 줄 알아야 한다. 이미지 명상이란 바로 이미지에 존재하는 상징들(Symbols)과 의미를 하나하나 파악해서 그것을 아울러 직관적으로 통변하는 것을 말한다. 실전에서 Two of Swords가 나왔을때 나는 직관적으로 재물운에 대한 답변으로 지출과 수입이 등가(균형)인 상황이라고 말해주었다. 물론 내담자는 수긍했다. 타로카드 이미지 리딩을 잘하면 실전에 써먹기 위한 카운슬링이 완성된다. 키워드만을 가지고는 한계가 있다. 물론 키워드는 수학의 구구단처럼 기본이다. 구구단을 암기하지 않고서 어떻게 수학을 잘할 수 있겠는가?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타로카드 키워드는 암기하고 있어야 한다. 암기가 귀찮다고 기본적인 키워드를 숙지하지 않는다면 총알없이 실전 전쟁터에 나가는 군인과 다를바가 없는 것이다. 우리는 실전(Practice)이라는 현업에서 타로상담을 잘하기 위해서 반드시 키워드를 잘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여기서는 이사벨 클리그만 여사가 78장의 카드들 중에서 가장 난해한 카드라고 말하고 본인에게도 가장 어려운 카드들 중의 하나인 Two of Swords 타로 카드의 정/역방향 이미지 리딩 방식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미지 리딩의 완벽성을 위해서 많은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고 또한 여기에 본인의 실전 경험과 강의 노하우 경험을 아울러서 설명한다.

 

라이첼 폴락 여사에 의하면 고위여사제 카드와 매달린 남자 카드는 사회적 참여에서 벗어나 조용히 있을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이 두 카드는 모종의 명상적 삶을 보여주고 있다. 마찬가지로 Two of Swords 카드 역시 모종의 명상적 삶을 보여주고 있다. 외면세계에 정신을 산란시키지 말고 내면을 들여다 보라는 것이다. 여인인 두 검을 들고 자신을 보호하려고 하고 있다. 두 눈을 감고 있다는 것은 바로 외부와 소통하지 않고 단절하면서 마음을 집중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눈은 에너지가 가장 많이 발산되는 곳이다. 따라서 눈을 눈가리개로 가린 것은 내면의 에너지가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함을 중요 목적으로 한다. 자신을 지키고 조용히 내면을 관조하라는 뜻이 있다. 검은 지성이자 진리이다. 즉, 검 두개를 대립, 대칭으로 들고 있는 것은 어느 하나의 지성적 입장에 치우치지 않으려고 한다. 치우침과 편견등이 없다.

 

타로리딩을 잘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생 경험과 노려한 지견(智見)이 필요하다. 삶을 제대로 살지 않은 사람은 인생의 에너지가 상담자 자신의 몸에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깊이 있는 상담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인생만 힘들게 산다고 지견이 서는 것은 아니다. 지견이 바로 서려면 깊이 있는 숙고와 생각이 필요하다. 공자께서도 “경험과 사유”는 함께 가야한다고 하셨다. 즉, 행동만해서는 안되고 꼭 생각을 깊이해야한다는 것이다. 물론 생각만 하고 경험과 행동이 없다면 별 의미가 없을 것이다.

 

이사벨 클리그만 여사는 이 Two of Swords 타로 카드가 카발라 생명의 나무에서 제 2의 세피라인 호크마(Chochma)의 에너지를 받고 있고 2라는 성향을 지니고 있다고 본다. 그래서 2라는 숫자가 의미하듯 둘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해석한다. Two of Swords 타로 카드는 다른 2의 카드처럼 ‘관계’의 카드이다. 참고로 2번 고위여사제, 11번 정의 그리고 Two of Cups등 타로카드에는 2와 관련하여 관계의 면을 강조한다. 고위여사제는 중립을 지키면서 조용히 관계로부터 벗어나 있지만 11번 정의는 관계를 잘 정리하고 끊고 맺음을 잘하고자 하는 의지가 엿보인다. Two of Cups는 관계를 잘 이어나가는 것을 뜻한다.

 

Two of Swords에서 주인공은 눈가리개를 하고 검을 어깨에 교차로 지나가도록 들고 있어, ‘관계 거부’, ‘인연 거절’을 암시하고 있다. 만나지 않으려고 한다. 왜냐하면 지금은 ‘냉전’ 처럼 평화를 유지하고 싶은 마음만 있기 때문이다. 대립적 갈등이나 대칭적 국면 상황에서 조용히 머무르고 싶은 심정이다. 이 주인공은 도인처럼 안보고서도 대칭적 균형감을 유지하고 있다. 이 점에서 볼 때 굉장히 명석한 지혜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 보여진다. 숫자 2는 관계의 수이지만 호크마는 지혜를 뜻한다. 즉, 2명의 관계에 있어서 지혜로운 역할을 하는게 이 Two of Swords 타로 카드의 주인공의 역할이다. 주인공은 생각으로 문제를 풀려고 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조용히 내적 관조와 내면적 삶을 통찰함으로써 지혜로서 문제 상황을 타개해야할 것이다. 말이나 대화를 통해서 문제를 해결해서는 안되고 심령적이고 지혜로운 도인적 자세로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대화를 끊고 조용히 내면을 들여다보고 직관과 지혜로 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잠시 쉬면서, 사람과의 관계에 거리를 두면서 전체적인 상황 응시를 내면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립적 관계를 보려고 하지 않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주인공은 자신의 문제상황, 즉 갈등과 대립 국면을 보지 않으려고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눈가리개를 하고 두 대립적 상황에 있음을 자신은 Two of Swords 타로카드를 통해서 알려주고 있다. 선택의 문제를 안보려고 하는 경향도 있다. 지금은 조용히 지혜로써 생각을 하지 않고 관계, 선택, 대립, 갈등 등을 관조하고 내적 성찰을 통해 자신을 외부와 차단하고 우선은 자신을 지키려고 하고 있다. 두 손으로 심장을 교차해서 가리고 있다는 것에 주목하라.

 

이 타로카드에서 여성으로 보이는 주인공은 고독해 보인다. 혼자 외롭게 바다 해변의 돌의자에 앉아있다. 달이 보인다. 분위기가 암울하거나 우울하거나 좀 진지해 보인다. 싸늘하다고나 할까 침착해지고 영적인 감각을 일깨워주고 주인공을 비추는 시간이다. 그녀는 저 멀리 바닷가에 보이는 두 개의 섬돌이 있음을 못보고 있다. 오른쪽은 작은 섬돌, 왼쪽은 좀더 큰 섬돌이다. 만약 이 여성이 도인의 영안(靈眼)으로 자신의 갈등 상황을 지켜볼 수 있다면 이왕이면 음침한 달기운을 받는 오른쪽 작은 섬돌보다는 달기운에서 좀 더 멀리 떨어진 좀더 큰 섬돌을 선택해야할 것이다. 실전에서 어느 공기업에서 근무하는 차장급 남성의 물음에 대해서 이 카드가 나왔다. 부서를 좀더 큰 부서로 이동해야하는지 아니면 작은 부서에 있어야 하는지 말이다. 본인은 이 Two of Swords 타로카드를 직관적으로 이미지 명상을 하니 큰 섬돌이 눈에 들어왔고, 결국 큰 부서 쪽으로 옮기도록 노력하라고 조언해 주었다. 작은 부서는 분위기가 차갑고 사람들이 좀 냉정한 편이지만 큰 부서는 분위기가 그럴 정도는 아니다라고 첨언해 주었다. 결국 1여년 안에 그 차장급 남성은 큰 부서로 이직하여 잘 다니고 있다.

 

이렇게 Two of Swords 타로카드가 뜨면 지적인 생각이나 논리적 판단을 유보하고 마음의 눈과 지혜 그리고 영적인 직관으로 상황과 문제를 타개해 나가야함을 알려준다. 문제가 안좋을때 이 Two of Swords 카드가 나오면 내담자(주인공)가 고립되어 있고 곤경에 빠져 있음을 알려준다. 이사벨 클리그만 여사 말대로 ‘검 카드가 보여주는 생각이나 지성은 우리를 망상적 사유를 이끌도록 하므로’ 곤경과 곤란의 소지가 다분하다고 말한다. 이럴때일 수록 지성을 포기하고 외면하기 보다는 지성과 감성의 조화를 이루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래서 Two of Swords 타로카드의 주인공은 가슴에 손을 가리고 검을 쥐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다. 가슴의 에너지, 즉 감성(아나하타 차크라)의 에너지를 검의 에너지인 지성 에너지로 승화하도록 한다. 감성에 기반을 둔 지성에너지는 보다 ‘관계’ 문제를 해결하는데 좋은 작용을 한다.

 

또한 그녀는 선택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것을 안다. Two of Swords 역방향일때는 대립적/갈등적 상황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서 석좌에서 일어나 문제상황을 직시한다. 그리고 지성의 에너지를 사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할 것이다. 아무튼, Two of Swords 정방향은 딜레마의 상황이요 국면이다. 딜레마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이때는 아예 모른척 문제상황을 보려고 하지 않는 편이 나을 지 모른다.

  

라이첼 폴락 여사 말대로 또한 이 Two of Swords는 높은 영적인 마음과의 교류내지 대화를 뜻하기도 하고, 또는 두 개의 날카로운 마음과의 대화를 의미하기도 한다. 두 검은 지적인 협력을 뜻한다. 두 가지 상대적이고 대립적인 관점을 모두 포용하여 자신을 지키고 변호하려는 처세가 필요함을 알려주기도 한다. 정방향 의미로는 지성적 지혜, 고차원과의 대화. 외부 환경에 대한 관여나 참여로부터 고의로 벗어남, 즉 대화를 피하거나 내적 성품을 깨워내기 위해서... 마치 명상처럼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역방향 의미로는 대화의 단절, 정신적 균형이 혼란상태에 빠짐. 다른 사람들과 어울림으로써 방어막을 제거한다는 뜻이 있다.

 

우리가 충실하지 않은 남편에 대해서 좋게 생각하려면 남편이 충실하지 않다는 생각을 무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누군가 잘못을 하거나 안좋은 일을 했을때 그(녀)와 계속해서 편안한 관계를 유지하려면 그의 행동을 무시하고 잊어버려야 할 것이다. 이 Two of Swords 타로카드는 엄청난 비밀을 간직한 카드이다. 정방향은 주인공이 어떤 행동도 하지 않음을 암시한다. 그리고 보았던 진실이나 사실을 비밀로 유지하려고 눈을 감고 자신의 지성을 통제함을 암시하기도 한다. 따라서 평화유지가 된다. 어떤 선택이나 어떤 갈등이나 치우치지 않고 중립적 태도를 지닌다면, 마치 이 Two of Swords 타로카드의 주인공처럼, 상황은 평화롭고 조용할 것이다. 즉, Two of Swords는 모른체하고 비밀로 간직하라는 뜻도 있다. 반대로 Two of Swords 역방향은 할말을 할 것, 그리고 비밀을 누설한다는 뜻도 들어있다. 이는 어찌 보면 Six of Swords와 비슷한 의미를 지닌다. Two of Swords는 “천칭자리 달”을 뜻한다. 즉, 균형과 교류에 있어서 냉랭함, 또는 대화에 있어서 냉담함을 뜻한다. 반면 Six of Swords는 “물병자리 수성”으로 생각과 의견을 함께 공유한다는 뜻을 지닌다.

 

또한 이 카드는 어느 한 쪽 편을 들거나 한 쪽 의견에 치우치거나 한쪽 사람의 편을 들거나 하지 않으려는 카드이다. 즉, 이기려 하지도 않고 그냥 대립된 상황이나 비결정적 상황을 그대로 두고 평화를 유지하려는 카드이기도 하다. 꼭 올바르고 정의롭게 행동할 필요가 없다는 지혜의 처세술도 포함되어 있다. 올바르지 않고 도망가는 것이 지혜로울 때가 있는 것처럼 이 Two of Swords 타로카드는 이기려거나 정의로우려거나 할 필요가 없음을 알려준다. 물론 지금 내담자의 입장과 상황에서는 말이다.

 

다음은 Bunning 여사의 Learning the Tarot를 번역하면서 해설을 단 글이다. Two of Swords 카드는 “감정을 차단한 상태”, “정체”, “회피” 등의 핵심 키워드를 가지고 있다.

 

타로는 실전에서 얼마나 높은 적중률로 맞추느냐와 얼마나 내담자의 마음을 편안하게 타로카드를 잘 통변해 주느냐에 의해 고수의 진위가 판명난다. 특히, 통변술은 적중률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므로 타로점술가들은 통변술을 잘 익혀야할 것이다. 통변이란 카운슬링을 뜻하고 스토리 텔링과 병행한다. 통변을 잘 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어휘에 대한 해박한 이해가 필요하겠다. 이번 카드는 Two of Swords 카드로서 이미지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한 여성처럼 보이는 주인공이 두개의 검을 대칭으로 들고 있다. 갈등의 양상을 엿 볼 수 있다. 문제를 보려고 하지 않고 있다는 점. 그리고 무엇인가 하려고 하지 않는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가슴을 두 개의 검을 든 손으로 막고 있다는 점도 알 수 있다. 이렇게 감정을 차단하고 정체되고 회피하는 카드를 보다 다양하게 패러프래이즈(말을 바꾸어 표현)해 보면 다음과 같다.

 

감정을 차단하기(Blocking Emotions)

- 진실된 감정을 부인하기

- 참된 마음을 거부하기

- 자연스러운 반응을 거부하기

- 묵묵부답

- 또 다른 사람을 거리를 두고 대하는 것

- 고통을 숨기기

- 귀머거리 행세하는 것

- 방어적인

- 냉정하게 유지하는 것

 

이 카드의 이미지를 보면 답답함과 에너지가 막히고 차단됨을 느낄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에너지 리딩이다. 이미지 리딩과 에너지 리딩이 같은 뜻이라는 점을 타로점술가는 알 필요가 있다. 이미지를 보고 에너지를 읽으면 통변이 된다. 위에는 에너지 차단 상태를 느끼고 통변한 해석이고, 다음은 에너지가 정체된 상태로 느껴졌을때 통변한 해석이다.

 

정체되어있는 상태(being at a Stalemate)

- 행동하기를 두려워 하는 것

- 나서지 않으려는 것

- 난국(亂局)에 도달한 것

- 결정하기를 거부한 것

- 움직이려고 하지 않는 것

- 울타리에 머무는 것

- 폐관수련

 

진리를 피하는 것(avoiding the truth)

- 사실들을 지켜보기를 거부하는 것

- 모든 것이 좋다고 가정하는 것

- 경고 사인을 무시하는 것

- 진행되는 것에 눈을 감고 있는 것

- 불유쾌함을 피하는 것

- 모르고서 선택하는 것

 

Joan Bunning님은 Two of Swords 카드는 종종 내담자가 자신이나 상황에 관하여 진리를 받아들이지 않으려고 할 때 나오는 카드라고 말한다. 이미지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이미지의 주인공은 검을 들고 자신을 보호하면서외부로부터 오는 사람들을 차단하고 있다.

 

파울 퀸은 Two of Swords 정방향에 대해서 “판단 보류”라는 개념을 쓰고 있다.

 

② 역방향

 

 

 

이 카드가 역방향일때는 자신의 입장이나 상황을 남들에게 알려야 한다. 가만히 눈가리게를 하고 대립상황이나 갈등 상황을 그대로 쥐고 있어서는 안된다. 선택을 해야하거나 문제상황을 직시해야 한다. Two of Swords 정방향이 모른척하거나 못본적 하는 것이라면 역방향은 문제를 바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역방향은 명예롭지 못함을 뜻하기도 한다.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지 않고 그냥 눈을 가리고 있으니 그렇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거짓된 친구들을 의미한다. 친구들이 도와주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주인공이 고립되어 있음이 더욱 크게 부각되어 나타난다. 또한 선택이나 갈등 국면에서 벗어나려면 남들과의 경쟁심이나 눈치로부터 벗어나야 함을 알려준다. 이 2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상징적 의미인 ‘관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Two of Swords 카드의 정방향/역방향 모두의 핵심은 ‘관계 개선’에 있는 것이다. 대인관계나 애정관계에 있어서 평화(정방향적 메타포)를 얻고 또한 화합(역방향적 메타포)을 얻어야 한다. 실전 타로에서 이 Two of Swords 역방향이 나왔을 때는 내담자가 사람들과의 안좋은 인연으로 불명예를 얻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Two of Swords 정방향은 특히 마음의 평화를 위해서 과거를 잊어라는 의미로도 실전에서 사용된다.

 

마리 그리어 여사는 Two of Swords의 역방향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즉, Two of Swords의 역방향은 평화를 깨고 행동을 취하는 것을 다룬다. 충성이 양분될 수 있어 의도하건 의도하지 않건간에 거짓말과 이중성을 초래할 수 있다. 여러분은 싸움의 줄다리기에 있는 것처럼 찟길 수 있다. 그리고 평화속에 머무르지 못한다. 피상적 협정분위기를 깨고자 원할 수 있다. 눈가리개를 벗어버리고 혼돈스러운 상황과 이슈를 바라보면서 행동에 옮긴다.

 

물상법으로 콤파스에 해당한다. 즉 포함하고 포용한다. 정방향에서는 분리-균등의 이미지가 있지만 역방향일때는 전체속에 반대된 것들이 포함된다. 내면적 평화를 이루기도 한다. 극단적으로 보면 콤파스는 한계를 정할 것이고, 그릇된 친구들처럼 반대편이 배반할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여러분은 찬성할 수 없는 것에 제한하려고할 것이다. 담배피우기 지역과 금연지역을 지정하는 것처럼.

 

일반적으로 Two of Swords의 역방향에서는 정방향의 정체가 사라진다. 그러나 아마 일치성을 얻지도 못할 것이다. 여러분이 반대편을 통합할 수 있거나 그들이 화합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 여러분은 측면들을 취하고 잘못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여러분은 진리에 여러분의 시야를 열어놓지만 여러분이 편견과 거짓말과 함께 살아왔다는 것을 드러낼 수도 있다. 상황이 어떠하든 더 깊은 진실과 진리가 드러날 것처럼 보인다. 적을 만나러 나가야만 한다. 진실을 알게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주변인연을 한계짓고 정신을 사용해야한다. 그리고 대인관계에서 상대방과의 선을 지키면서 정신을 쓸 것.

 

③ 실전 타로

어느 여성이 자신의 앞날 운세를 한 번 봐달라고 하여 타로점을 봤다. 다음과 같다.

 

 

Two of Cups 역방향  Eight of Pentacles 역방향 Two of Swords 정방향

 

실연당해서 일도 안되고 과거를 잊고 마음의 평화를 유지하는게 중요하다고 하늘에서 조언해 주고 있다.

 

 

피크닉 배상

 

참고문헌)

1. 이사벨 클리스만, Tarot and Tree of Life

2. 라이첼 폴락, Tarot Wisdom

3. 조안 버닝, Learning the tarot

4. 조엔나 워터스, 타로의 지혜, 이선화 박사 번역

5. 마리 그리어, Tarot Reversals

6. 파울 퀸, Tarot for Life

 

출처 : 역학동
글쓴이 : 피크닉 원글보기
메모 :